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40~50대가 꼭 신청해야 할 지원금 3가지

by GET DO HA 2025. 5. 8.

"정부에서 주는 돈인데, 나는 왜 몰랐을까?"

2025년, 꼭 챙겨야 할 40~50대 대상 핵심 지원금 3가지를 정리했습니다.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, 직접 신청해야 받을 수 있는 현금성 지원금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.



1. 근로, 자녀장려금(2025년 5월 신청)

제도개요

중·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 최대 300만 원까지 현금으로 지급하는 대표적인 정부 장려금 제도입니다. 신청자에게만 지급되므로 반드시 챙겨야 합니다.

신청요건

  • 만 30세 이상 단독가구 또는 맞벌이/홑벌이 가구
  • 연간 총소득: 단독 2,200만 원 / 맞벌이 3,600만 원 이하
  • 재산 기준: 세대 합산 2억 원 미만

지급금액

    • 단독가구: 최대 150만원
    • 맞벌이·홑벌이: 최대 300만원
    • 자녀장려금: 자녀 1인당 최대 80만원

신청방법

  • 정기신청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  • 기한 후 신청: 6월 1일 ~ 12월 1일 (※지급액 10% 감액)
  • 신청 경로: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에서 간편 신청 가능

신청하기

2. 고용보험 환급형 직업훈련 지원금

제도개요

고용보험에 가입된 재직자(정규직·비정규직 포함)를 위한 국비 지원 직업훈련 제도입니다. 수강료 일부 또는 전액이 환급되고, 수료 시 훈련 장려금도 받을 수 있습니다.

신청 요건

  • 고용보험 가입 재직자 전원 대상
  • 우선지원대상기업 또는 중소기업 재직자는 혜택 우대

혜택내용

  • 자비 부담 0~20%로 교육 수강 가능
  • 수료 시 월 최대 11만 6천 원의 훈련장려금 지급
  • 온라인 수강 가능, 출석률 기준 충족 시 장려금 지급

신청 방법

  •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희망 과정 검색 후 신청

신청하기

3. 긴급복지 생계비·의료비 지원 (위기 상황 시)

제도개요

질병, 실직, 이혼, 채무 등으로 생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 정부가 단기적으로 생계비나 의료비를 직접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
신청요건

다음 중 하나 이상 해당될 경우 신청 가능:

  • 실직, 휴·폐업 등으로 인한 소득 중단
  • 암, 뇌출혈 등 중증질환 발생
  • 과도한 부채, 가족 관계 단절 등 위기 상황

지원금액

  • 생계비: 가구당 최대 월 154만 원 (4인 기준)
  • 의료비: 1인 최대 300만 원까지 실비 지원
  • 주거비, 교육비 등 기타 항목도 추가 지원 가능

신청 방법

  • 거주지 관할 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

 

 

한눈에 보는 지원금 요약표

지원금 종류 주요 대상 최대 지원 금액 신청 경로
근로·자녀장려금 중·저소득 가구 최대 300만 원(현금) 홈택스/손택스 앱
직업훈련 환급 지원금 고용보험 가입 재직자 수강비 환급 + 월 최대 11.6만 원 장려금 HRD-Net
긴급복지 생계·의료비 지원 위기 상황 발생자 생계비 월 154만 원 + 의료비 최대 300만 원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

지금 바로 확인하세요

  • 5월은 근로장려금 정기신청 기간입니다.
  • 직장인이라면 HRD-Net 교육 혜택을 꼭 확인해보세요.
  • 위기 상황에 처했다면 행정복지센터에서 지원 상담을 받아보세요.

👉 지금 신청하지 않으면 1년을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.